kagogo-haja.shop
Open in
urlscan Pro
2a06:98c1:3120::3
Public Scan
URL:
https://kagogo-haja.shop/
Submission: On April 30 via api from US — Scanned from NL
Submission: On April 30 via api from US — Scanned from NL
Form analysis
1 forms found in the DOMPOST /comment/add/310
<form method="post" action="/comment/add/310" onsubmit="return false" style="margin: 0">
<div class="comment-form">
<div class="field">
<input type="text" name="name" placeholder="이름" value="">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maxlength="8" placeholder="비밀번호" value="">
<div class="secret">
<input type="checkbox" name="secret" id="secret">
<label for="secret" tabindex="0">비밀글</label>
</div>
</div>
<textarea name="comment" cols="" rows="4" placeholder="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입력해주세요."></textarea>
<div class="submit">
<button type="submit" class="btn" onclick="addComment(this, 310); return false;">등록</button>
</div>
</div>
</form>
Text Content
본문 바로가기 검색 * 관리 * 글쓰기 * 로그인 * 로그아웃 메뉴 * 홈 * STEM-학술세미나 건설환경공학 기계공학 수학 / 통계학 재료공학 전기정보공학 컴퓨터공학 etc * 정기연재 기계공학 수학 / 통계학 재료공학 전기정보공학 조선해양공학 컴퓨터공학 화학생물공학 etc * [책] 공대에 가고 싶어졌습니다 * STEM 뉴스 * 선배가 들려주는 공대 이야기 * 방명록 * * 바로가기 1212 12 STEM - 학술세미나/etc 디자인을 디자인하다 by STEMSNU 2022. 3. 1. 건축설계 과제를 하다보면 가끔 감탄이 나올만큼 뛰어난 선배들의 작업들과 마주하게 됩니다. 사실 저는 다른 사람의 좋은 디자인을 보면 아래처럼 복합적인 감정들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 호기심 (어떻게 저런 생각을 했지?) * 도전의식 (해볼만 한 것 같다!) * 질투 또는 좌절 (나도 잘하고 싶은데.) * 경외 (와, 멋지다는 말 밖에 안 나와.) 아마 건축뿐만 아니라 기계공학 등 설계를 해보신 분들은 공감하실텐데요. 디자인은 직관적인 센스나 창의성이 자주 동원되기에, 은연중 디자이너의 자아가 투영되고 감정이 이입되는 듯합니다. 자꾸 ‘엄친아’와 내 자식을 비교하게 되는 엄마의 마음이라고나 할까요! 고맙게도(?) 몇몇 후배들은 제게 이런 감정을 느끼는지, 제 작업물에 대해 질문하곤 합니다.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습니다. * 평소에 어디서 아이디어를 얻어요? * 어떤 과정을 거쳐 설계했는지 얘기해주세요. 저는 늘 성심성의껏 답을 해주려는 편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더 솔직히는 무의미한 대화에 가깝다는 생각도 듭니다(오만한 생각일까요?) 왜냐하면 각각의 디자이너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해서 그 원리를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비약이 있지만, 마치 알파고가 어딘가 바둑알을 놓을 때 아무도 그 판단의 이유를 모르는 상황과 비슷합니다. 디자이너 스스로도 자신의 디자인 원리를 모르는데, 그 얘기를 듣는 다른 사람이 메커니즘을 알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디자인 프로세스라는 것이 얼마나 개인적일 수 있는지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프랭크 게리 Frank Gehry 라는 미국의 유명한 건축가가 있습니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하기도 한 인물인데요. 전설처럼 내려져오는 게리의 황당한 디자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게리가 직원에게 종이를 구기게 한다. 2. 직원이 종이를 열심히 구긴다. 3. 게리가 구겨진 종이 중 마음에 드는 걸 고른다. 4. 구겨진 종이를 3D 스캐닝해서 컴퓨터에 구현한다. 5. 건물로 만든다. 믿거나 말거나 하는 농담이지만, 어쨌거나 게리의 대표작들을 보면 종이를 구겨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사진=Walt Disney Hall Concert Hall, LA.) 이처럼 디자이너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무척 개인적이고 복잡하므로 규명이 어렵습니다. 그 프로세스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 또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디자인의 이러한 속성을 가리켜 ‘Black Box’라고 이야기합니다. 디자인 결과물이 나와도 그것이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 탄생하는지 모른다는 것이죠. 때문에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유럽과 미국에서는 디자인을 디자이너의 ‘재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세계대전과 산업화를 거치며 새로운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기계들이 대거 등장하고,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재주만으로는 감당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합니다. 이러한 위기에서 영미 디자인학계를 중심으로 1962년 'Conference on Design Methods'라는 세계 디자이너 회의가 열리는데요. 여기서 디자인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시대 흐름에 발을 맞추려는 주장이 처음 등장합니다. 60년대에 힘을 얻었던 이들의 주장을 통상 Systematic Approach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인물과 그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J. C. Jones: 디자인은 분석, 종합, 평가의 3단계로 체계화할 수 있다. * C. Alexander: 디자인은 분석, 종합의 2단계로 체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70년대를 전후로 반론이 등장하게 됩니다. 디자인은 애초에 체계화될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인 자체에 내재한 비합리성과 직관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이었죠. 이는 ‘천재성’, ‘재주’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디자인관과 잘 부합했고, 디자이너들에게 지지를 얻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과 그 주장으로는, * H.W.J. Rittel: 과학 문제는 뚜렷한 목적을 갖지만, 디자인 문제는 문제를 정의하는 것 자체가 문제인 ‘사악한 문제’이다. (Wicked Problem이라는 유명한 표현을 처음 사용.) * J. Darke: ‘Primary Generator’을 통해 초기부터 결과물을 얼추 상상한 채로 디자인한다. 이후 단계들은 어느 정도 객관화는 가능할 것이다. 사견이지만 Darke의 입장에 공감이 가는 것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제가 동료들과 <Bauhaus Campus 2021>이라는 해외 건축설계 공모에 냈던 계획안인데요. 자세히 보면 최종적인 건물 모습과 초기 스케치의 건물 모습이 같은 구조임을 볼 수 있습니다. 디자인의 시작단계부터 건물의 최종 모습을 상상하고, 그것을 구체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두 이미지가 비슷하죠. 실제로 제 주변 적잖은 동기들이 건물의 최종 모습을 미리 상상한 뒤 천천히 구체화하는 식으로 디자인하는 것 같습니다. (Copyright: Park Shinwoo, Nam Jungwoo, Cho Donghyun) 한편 Rittel, Darke와 비슷한 시기에 그들과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학자들도 등장합니다. 비합리적, 직관적 디자인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시 ‘과학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려는 이들이 등장하는데요. 이들은 당시 칼 포퍼와 토머스 쿤의 과학철학의 성과를 인용해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대표적인 인물들과 그 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Hillier, Musgrove: 여러 학문 중 유독 디자인만 직관적인 것은 아니다. 또 직관이 비과학적이라는 주장 역시 오류이다. 이상으로 디자인방법론의 전개 흐름을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수업 중 최재필 교수님의 ‘건축과 사회’ 강의 수강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에도 건축, 디자인과 관련해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들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신우 12.5기,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세줄 요약> 1. 전통적인 ‘직관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객관화해 이론적 체계를 세우려 했던 Systematic Approach (Jones, Alexander) 2. Systematic Approach의 한계 인정, 직관적/감각적 디자인으로 회귀 (Rittel, Darke) 3. 비합리성을 일반 과학적 행동으로 수용하려 하는 과학철학적 논의 (Hillier, Musgrove)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STEMentor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STEM - 학술세미나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언어사용에 대하여 (0) 2022.04.27 과학, 기술, 사회: 여러분이 보고 계신 공학은? (0) 2022.04.27 하이퍼루프, 자기부상열차, 대중교통의 미래 (0) 2022.02.23 22개월 경력 공대생 통역관의 통역 꿀팁!! (0) 2022.01.02 스타트업 시행착오 줄이는 방법 (0) 2021.12.24 태그 디자인 #디자인방법 #설계 #천재성 #감각 #설계방법 #디자이너 #건축학 관련글 * 이중언어사용에 대하여 * 과학, 기술, 사회: 여러분이 보고 계신 공학은? * 하이퍼루프, 자기부상열차, 대중교통의 미래 * 22개월 경력 공대생 통역관의 통역 꿀팁!! 댓글0 STEMentor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우수학생센터 공우(STEM)구독하기 비밀글 등록 * View All (380) * STEM - 학술세미나 (46) * 건설환경공학 (1) * 기계공학 (3) * 수학 & 통계학 (2) * 재료공학 (2) * 전기정보공학 (4) * 컴퓨터공학 (12) * etc (20) * 정기연재 - 기계공학 (14) * [4대 역학] BestEng: Mechanical.. (8) * [유체역학] 푸른허밍버드의 유체역학 (2) * [로봇공학] 성환's 로봇공학 이야기 (4) * 정기연재 - 수학 & 통계학 (90) * [선형대수학] Welcome to Linear .. (6) * [상미분방정식] 참새와 함께하는 공학수학 - OD.. (53) * [편미분방정식] YJ와 함께하는 공학수학 - PD.. (1) * [벡터 미적분학] 나누고 쌓는 벡터 미적분학 by.. (9) * [극한] 극한까지 가버린 극한 (4) * [통계학] 통계랑 오늘부터 1일! (6) * [집합] 집합의 기수와 무한집합 (3) * [해석학] Measure Theory (8) * 정기연재 - 재료공학 (23) * [재료공학]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 이야기 (11) * [재료 열역학] Phase Diagram의 비밀 (6) * [재료역학] The 12 by 통몽 (4) * [재료역학] 한주에 끝내주는 재료역학 (2) * 정기연재 - 전기정보공학 (34) * [양자역학] Newbie를 위한 양자역학 (30) * [전력전자공학] 전력전자공학의 A부터 Z..아니 .. (4) * 정기연재 - 조선해양공학 (3) * 재정신의 조선해양공학 (3) * 정기연재 - 컴퓨터공학 (8) * 김도현의 Computing101 (1)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7) * 정기연재 - 화학생물공학 (53) * [열전달] 열전달의 연결고리 (13) * [물질전달] 학부생을 위한 물질전달 10선 (14) * [생명공학] 청둥오리의 재미있는 생명공학 (4) * [생체신호] 청둥오리의 재미있는 생화학 (3) * [반응공학] 예시로 알아보는 반응공학 (6) * [센트럴 도그마] 참새가 들려주는 생명공학 (10) * [전기화학] 오리너구리가 알려주는 전기화학 (3) * 정기연재 - 원자핵공학 (1) * [양자역학] 양자역학 찍먹해보기 (1) * 정기연재 - etc (3) * [에세이] 모태 공돌이의 과학기술 에세이 (3) * [책] 공대에 가고 싶어졌습니다 (10) * STEM 뉴스 (11) * 전공백서 (82) * 건설환경공학부 (0) * 건축학과 (3) * 기계공학부 (7) * 산업공학과 (0) * 에너지자원공학과 (7) * 원자핵공학과 (4) * 재료공학부 (10) * 전기정보공학부 (19) * 조선해양공학과 (4) * 컴퓨터공학부 (7) * 항공우주공학과 (2) * 화학생물공학부 (15) * 기타 학과 및 학부 (4) 최근글인기글 * 에너지자원공학과: 지열에너지공학 2024.03.02 * 항공우주공학과: 항공기구조역학 2024.03.01 * 재료공학부: 재료상변태 2024.02.29 * 화학생물공학부: 유기화학 2024.02.29 * 전기정보공학부: 데이터통신망의 기초 2024.02.29 * 재료이야기 #06.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2015.06.26 * 오리너구리가 알려주는 전기화학-첫 번째 이야기 2022.07.17 * #5.Laplace transform(4. 미분&⋯ 2015.07.09 * 재료이야기 #04. 금속, 세라믹, 폴리머의 특징⋯ 2015.06.01 * #5.Laplace transform(8.문제 풀⋯ 2015.08.01 태그 unsteady 미분방정식 Ode Diffusion 열전달 Stem 미방 화학생물공학 프로베니우스 유체역학 conduction 물질전달 슈뢰딩거 방정식 재료공학 서울대학교 heat transfer 좌표계 화학생물공학부 공우 알고리즘 스템멘토 미분 자료구조 유체 mass transfer 공학수학 벡터미적분학 Frobenius method series solution 구면좌표계 전체 방문자 1,544,953 Today : 62 Yesterday : 896 * 인스타그램 -------------------------------------------------------------------------------- 서울대학교 우수학생센터 공우 (링크) TOP 전화: 02-880-2277 (공과대학 행정실) Copyright © 2023 공우 (STEM).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STEMentor구독하기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스토리 * 포럼 * 로그인